수천 년을 바다에서 살아온 바다거북은, 그 신비한 외형만큼이나 놀라운 행동과 능력을 지닌 동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바다거북이 멸종 위기라는 사실 정도는 알고 있지만, 그들의 삶의 방식이나 생존 전략, 그리고 감각에 대해선 거의 알지 못합니다. 오늘은 '사람들은 몰랐던 바다거북의 신비한 비밀들'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지구 자기장을 감지해 ‘바다의 지도’를 그리는 능력
바다거북은 마치 내장된 GPS를 갖고 있는 듯,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바다에서 자신이 태어난 해변으로 정확히 돌아옵니다. 이 놀라운 능력의 비밀은 바로 ‘지구 자기장 감지’에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바다거북이 지구의 자기장 패턴을 기억하고 감지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지구는 북극과 남극을 기준으로 자기장을 띠고 있는데, 각 위도마다 고유한 자기장 서명이 존재합니다. 바다거북은 부화할 때 이 자기장 정보를 뇌에 ‘각인’하고, 수십 년 후에도 이 정보를 기억해 자신이 태어난 해변을 찾아옵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 감각이 단순히 방향 감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해류의 흐름, 바닷물의 온도, 심지어 암석 지질까지 함께 고려한 복합적인 항해 전략이라는 점입니다. 인간이 위성 신호에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바다거북은 지구 자체를 ‘지도’로 사용하는 생존의 달인입니다.
‘울지 않는 눈물’의 진실
염분을 배출하는 눈샘의 비밀 해변에서 알을 낳는 바다거북이 눈에서 눈물을 흘리는 듯한 모습은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감동적인 장면’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그 눈물은 슬픔의 표현이 아니라, 신체 생리적 기능의 결과입니다. 바다거북은 바닷물을 마시고 해양 생물들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바닷물에는 소금이 다량 포함돼 있어, 이 소금을 몸속에 그대로 축적할 경우 생명 유지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바다거북은 눈 옆에 위치한 ‘소금샘’을 통해 과잉 염분을 눈물 형태로 배출합니다. 이 눈물은 일반적인 눈물보다 수천 배 더 짠 농도를 가지며, 주로 해변에 올라왔을 때 혹은 알을 낳는 중에 더 활발히 배출됩니다. 이는 체내 수분을 조절하고 이온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작용입니다. 결국, 바다거북이 흘리는 눈물은 ‘눈물 흘리는 생명체’라는 인간의 감성적 투영이 아니라, 혹독한 바다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진화적 생존 전략인 셈입니다.
무음의 대화
바다거북은 말을 하지 않지만 서로를 인식한다 많은 해양 생물들이 소리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합니다. 고래나 돌고래처럼 정교한 언어 체계를 갖춘 동물도 있지만, 바다거북은 ‘말하지 않는 동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들은 이들이 생각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새끼 바다거북은 알 속에서 형제들과 동기화된 행동을 보입니다. 부화 전, 알 안에 있는 새끼들은 서로의 진동을 감지하며 한꺼번에 부화 타이밍을 맞추는 ‘협력적 행동’을 합니다. 이렇게 무리를 이루어 땅을 뚫고 동시에 나오는 이유는, 포식자의 눈을 피하기 위한 집단 전략입니다. 뿐만 아니라, 바다거북은 특정한 저주파음을 인지하고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포식자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번식기 짝짓기 상대를 찾는 데 쓰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의 청각으로는 잘 들리지 않는 이 저주파음은, 수백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도 전달됩니다. 즉, 바다거북은 언어를 쓰지 않지만, 진동, 주파수, 집단 동기화 등으로 서로를 인식하고 협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고요한 듯 보이는 그들 세계에도, 우리가 모르는 ‘소리 없는 대화’가 존재하는 셈입니다.
바다거북은 단순히 느릿하고, 멸종 위기이고, 귀엽게 생긴 해양 생물이 아닙니다. 그들은 수천 년을 거쳐 진화해온, 고도로 복잡한 생존 전략을 지닌 해양 전문가입니다. 우리는 바다거북이 어떤 방식으로 바다를 항해하고, 어떻게 염분을 조절하며, 어떤 방식으로 협력하고 살아가는지를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미지의 부분은 많습니다. 인간의 눈에는 단순해 보일 수 있는 그들의 행동 속에는 생존, 진화, 협력의 정수가 담겨 있습니다. 바다거북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단지 그들의 귀여운 외형에 그치지 않고, 그들 삶의 방식과 생태적 가치를 이해하는 수준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 그래야만 이 위대한 생명체가 미래에도 바다를 누빌 수 있을 테니까요.